Free Essay

Fgfgafdg

In:

Submitted By belleju94
Words 3865
Pages 16
KB Industry report

친환경 자동차 성장 전망 및 유망 분야

목차

Ⅰ.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 2

Ⅱ. 순수 전기 자동차 시장 성장 전망 ……… 6

Ⅲ. 국내 관련 산업 영향 및 시사점

……… 13

본 자료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서 제공하는 산업동향 보고서로 연구원 개인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1

KB Industry report

I.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 미 테슬라 돌풍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기대감 고조
 테슬라의 고급 스포츠 전기차 ‘모델 S’가 동급 고급 세단을 압도하는 판매량을 기록 하며 올해 들어 전기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확대
- 올해 1 분기 모델 S는 4,750 대가 팔리며 동급 고급 세단인 벤츠 S 클래스 (3,077 대), BMW 7 시리즈(2,338 대), 아우디 A8(1,462 대)을 추월 - 2003 년 설립된 이후 미국 신생 자동차 기업 최초로 10 년 이내에 흑자 달성 - 올해 테슬라의 자동차 판매량은 약 2.1 만 대 정도로 예상되나 시가총액은 200 억 달러 수준으로 2012 년 567 만 대를 판매한 Ford 절반 수준이며 929 만 대를 판매 한 GM 의 1/3 수준



테슬라 ‘모델 S’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대비하여 차별화된 성능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소비자의 구매가 확대됨
- 모델 S 는 정지에서 시속 97 킬로 속도를 내는데 걸리는 시간이 4 초 정도로 다른 스포츠 자동차와 비슷한 수준이며 1 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도 400km 수준 우수 - 세금 공제액을 감안할 경우 고급형 모델 S 의 가격은 87,400 달러로 경쟁 차종에 비 해 낮은 수준



테슬라 돌풍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전기차 테마로 분류된 업체의 주가 급등
- 코디에스, 상신이디피 등 전기차 테마주들은 9 월 이후 50% 이상 급등세 연출
[ 테슬라 주가 추이 ] [ 테슬라 모델 S 판매 비교(2013년 1분기 기준)]
4,750 (단위: 대)

3,077 2,338 1,462

테슬라 모델 S

벤츠 S 클래스

BMW 7 시리즈

아우디 A8

자료: 블룸버그

자료: 현대증권
/2

KB Industry report

 지역별 친환경 자동차 시장 현황
 전 세계 친환경차 판매량은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자동차 판매 대 비 비중도 증가세
- 친환경 자동차 판매량은 2009 년 75 만 대에서 2012 년 154 만대 수준으로 증가하 였으며 전체 판매량 대비 비중도 1.2%에서 2.0%로 증가 - 2013 년 상반기 기준으로 친환경차 판매량은 80.2 만대로 전체 판매량의 2.0%



지역별로는 일본이 친환경 자동차 세계 최대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 등 선진국 중심의 시장을 이루고 있음
- 일본은 친환경자동차 성장 촉진을 위해 2009 년과 2011 년 두 차례에 걸쳐 보조금 을 지원하였으며, 2012 년 기준 88.8 만대를 판매하며 전체 시장의 57% 비중 차지 - 미국은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모델 출시가 확대되면서 높은 성장세 기록 - 유럽은 프랑스 등 주요국의 지원 정책이 이어지는 가운데 업체 선두인 도요타의 유 럽 판매 확대와 유럽 업체의 신규 모델 출시로 성장세가 확대되는 추세



세계 최대 자동차 판매국인 중국은 현재 친환경 자동차 시장 규모가 미미한 수준
- 중국의 친환경 자동차 판매량은 2011 년 8,159 대, 2012 년 1 만 2,791 대로 선진 국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판매량 대부분이 정부나 기업에서 구매 - 중국 정부의 시장 확대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정부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준

[ 세계 친환경 자동차 판매수 및 비중 추이 ]
(만 대)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2009 2010 2011 2012 2013.1H 75 0.0 86 85 153.9 80.2 0.5 1.2 판매대수(좌) 전체 자동차 판매 대비 비중(우) 1.2 1.1 2.0 2.0 2.0 (%) 2.5

[ 주요 지역별 친환경 자동차 판매 추이 ]
(만 대) 100 80 60 40 20 0 30 8.9 2013.1H 유럽 1.5 2.2
1.5

북미

일본

기타 1.6

49.9

39.7 38.9

1.0

23.5 5.6 2012.1H

25.1 7.2 2012.2H

자료: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자료: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3

KB Industry report

 종류 및 업체별 친환경 자동차1 판매 현황
 종류별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순수 전기차(EV) 의 성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는 가격 경쟁력 하 락으로 축소
- 2013 년 상반기 기준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량은 74.4 만 대로 친환경 자동차 시 장의 93%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비중이 소폭 축소 - 동기간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친환경 자동차 시장의 4.7% 비중인 3.8 만대에 불과 하나 최근 미국 테슬라의 모델 S 판매량 확대 등으로 높은 성장세 기록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량은 2.5% 비중인 2 만 대로 신제품 출시 감소와 전기차 대비 가격 경쟁력 약화 등으로 점유율 하락



업체별로는 일본 업체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서 우위를 점유한 가운데 미국 포 드가 연비를 큰 폭으로 개선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
- 도요타는 주력 하이브리드 모델인 프리우스를 기반으로 2013 년 상반기 판매량 기 준 세계 시장 점유율 71.2%로 압도적인 우위 - 혼다는 시장 점유율 8.9%로 2 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내수시장 비중(83%)이 높아 일본의 보조금 정책 종료에 따른 매출액 감소 폭이 컸음(판매량 2012 년 상반기 대 비 -48.9%) - 포드는 전년동기대비 5 배 이상한 4.6 만대를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이 1.1%에서 5.7%로 큰 폭 증가  포드의 신모델인 퓨전 하이브리드는 동급 대표 모델인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에 비 해 가격은 4.1% 높지만 연비(시내 기준)가 9.3% 향상되면서 제품 경쟁력 개선

1

친환경차 분류에 대해서는 부록 1을 참조
/4

KB Industry report

[ 종류별 친환경 자동차 판매 추이 ]
(만 대)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2012. 1H 2012. 2H 2013. 1H 77.1 74.4 HEV 총 80.5 1.6 1.8 EV 총 73.4 2.8 2.2 PHEV 총 80.5 2.0 3.8
(만 대) 70 60 50 40

[ 업체별 친환경 자동차 판매 추이 ]
2012.1H 2013. 1H

57.7 57.1

68.4

30 20 10 0 도요타 혼다 포드 현대기아 기타 13.9 7.1 0.9 4.6 2.7 3.2 5.4 8.2

자료: 한국자동차 산업연구소

자료: 한국자동차 산업연구소

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친환경차 전략 현황
 향후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개선된 모델의 친환경차를 출시할 예정이며 시장 지배 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역에 판매를 확대할 계획
- (도요타) 주력 하이브리드 모델인 프리우스의 연비를 더욱 개선시킬 예정이며 주력 판매 지역인 일본과 미국 이외 유럽과 중국에서도 판매를 확대할 계획 - (혼다) 도요타보다 앞선 연비를 구현한 신모델을 출시하면서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 선과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개발도 병행 - (닛산) 전기차 리프 판매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전기차 중심에서 하이브리드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를 병행하는 방향으로 전개 - (GM)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인 볼트의 가격 인하와 연비개선을 지속하는 가운데 전기차 에 대한 투자도 지속 - (포드)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존의 다양한 모델에 하이 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여 출시하는 전략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전기차와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 개발에는 소극적인 상황 - (폭스바겐) 고성능 모델을 개발하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에 집중할 전망

/5

KB Industry report

- (BMW)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하이브리드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대신 전기차 에 무게를 실을 것으로 보이며 최근 전기차 i3, i8 모델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행보를 보임



완성차 업체들의 개별적인 친환경차 개발과 더불어 최근 수소연료 전지차 분야에서 업체들간 기술 제휴를 강화하는 양상
- 2011 년 말 도요타와 BMW 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한데 이어 2013 년 1 월 연료전지차에 대한 기술 협력을 발표 - 포드와 다임러도 2008 년 연료전지차 개발을 공동으로 시작한 가운데 르노닛산이 공동개발을 위한 제휴에 참여 - GM 과 혼다도 독자 개발 노선을 포기하고 연료전지차 분야 공동개발 계획을 발표
[ 글로벌 완성차 업체간 연료전치차 제휴 현황 ]
기술 보완 기술 교환 독자 개발 (포드 + 다임러) + 르노닛산 BMW + 도요타, GM + 혼다

현대/기아차, 폭스바겐

자료: HIS, MarkLines,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II. 순수 전기 자동차 시장 성장 전망
 (성장 요인 1) 각국의 기후 변화 대응 정책 강화
 세계 주요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주요 정책을 발표
- 미 오바마 대통령은 6 월 탄소오염 기준을 도입하고 석탄 사용을 줄이는 등의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기후변화 액션플랜(Climate Action Pan)을 발표 - 중국은 광둥성 선전에서 635 개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를 최초로 시행하 였으며, 2020 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 년 대비 40% 수준으로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

/6

KB Industry report

- 유럽은 2020 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 년 대비 20% 감축하고 신재생 에너 지 사용량을 전체의 20% 수준으로 높이며 전체 에너지 사용량을 전망치 대비 20% 감축한다는 20-20-20 프로그램을 마련



이에 따라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연비 개선 및 목표 미달성 시 제재안을 마련
- 미국은 오바마 정부 들어 자동차 연비 규제를 큰 폭으로 강화하면서 자동차 업계의 자동차 연비 개선 및 친환경 자동차 개발 노력 확대 - 유럽은 배출목표 기준치를 초과하여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자동차 업체에 대해 높은 세금을 부과하며 배기 가스 배출 규제를 강화 - 일본은 차량 중량별로 세분화하여 연비를 규제하고 있으며 전체 차종에서 고르게 연 비 규제를 시행
[ 주요 국가별 자동차 연비 규제 현황 ]

국가 미국

세부 내용 - 2016년까지 연비 15.1km/l, 배기가스 155g/km 수준, 2025년까지 연비 23.2km/l, 배기가스 101g/km 수준으로 규제 - 평균 연비가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 0.1mpg에 5.5달러의 벌금을 전체 판매 차량에 부과 - 2015년까지 연비 17.9km/l, 배기가스 130g/km 수준, 2020년까지 연비 24.4km/l, 배기가스 95g/km 수 준으로 개선 - 2015년부터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30g/km을 초과할 경우 초과 배출량 기준으로 5~95유로의 누진 벌금을 부과할 계획 - 2015년까지 연비 16.8km/l, 배기가스 130g/km 수준, 2020년까지 연비 20.3km/l, 배기가스 105g/km 수준으로 규제 - 2015년까지 연비 목표 미달성시 미달업체 차량공개, 벌금 부과 등의 제재 예정

유럽

일본

자료: 업계, KB경영연구소

 (성장 요인 2) 유가 상승 및 친환경차 구입 소비자 부담 감소
 국제 유가의 상승으로 휘발유 가격이 높아지면서 내연기관 자동차의 운행비용이 높 아진 반면 친환경 자동차의 유지 비용은 상대적으로 하락
- 2013 년 10 월 기준 국제유가(WTI 기준)는 2000 년 대비 약 3 배 상승

/7

KB Industry report

 월 평균 WTI 가격(달러/배럴): 33(00년 10월) 135(08년 7월) 100(13 년 10월) - 반면 전기 요금의 인상폭은 유가에 비해 낮아 유지 비용 측면에서 전기차의 장점이 상대적으로 부각  전기차 운행 비용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약 20% 수준으로 평가



친환경 자동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각국 정부의 보조금 및 각종 세제 혜택 등으 로 소비자 부담이 감소하면서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확대
-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2 차 전지 가격은 대량 생산, 부품가격 하락, 관련 기술 발전 에 따라 2010 년 약 800~1,000 달러/kWh 에서 2012 년 600~700 달러/kWh 수준 으로 하락 - 미국이 전기자동차 구매 소비자에게 최대 7,500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각국 선진국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목표로 각종 지원책을 제공 - 국내의 경우, 환경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받을 경우 전기차 가격이 큰 폭 으로 감소(환경부 보조금: 대당 1,500 만원, 지자체 보조금: 대당 300~800 만원)  전기차 SM3 ZE의 표시 가격은 4500만원이나 보조금을 받을 경우 2천만원 대로 하 락
[ 차종별 100km 운행시 비용 비교 ] [ 주요국의 전기차 구입 혜택 ]
국가 미국 혜택 - 보험료 10% 감면, 구입비 100% 공제 - 7,500달러 보조금 지원 세금

(원/100km) 16,000 15,000

휘발유 가격 1,800원/리터 연비 12km/리터 가정시

12,000 8,315

8,000

6,797

7,260

일본

- 자동차세 50% 감면 - 최대 139만엔 보조금 지원(2012년 9월 종료) - 취득세 40% 감면 - 6만 위안 보조금 지원 - 2,000~5,000 파운드 보조금 지원 - 5,000 유로 환급

4,000

중국 영국

0 내연기관 레이 EV SM3 Z.E 스파크 EV

프랑스

자료: 업계, KB경영연구소 주)가정용(고압) 전기세 500kWh 초과 기준

자료: 업계, KB경영연구소

/8

KB Industry report

 (제약 요인) 이용의 불편함과 높은 가격
 테슬라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순수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지에 대 해서는 불확실성이 존재
- 테슬라의 성공 요인은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과 낮은 운행 비용 등 전기차 고유의 장 점이라기보단 우수한 주행 성능 및 첨단 내부 시설 등 제품 자체의 매력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 소비자의 입장에서 현재 순수 전기차는 높은 가격 뿐 아니라 긴 충전 시간과 짧은 주행 거리 등 불편한 사항으로 인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구매 매력도가 크게 낮 은 상황



(충전 인프라 부족) 충전 인프라 확산은 전기차 보급을 위해 필수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요인
- 현재 전국 주유소 개수는 약 1 만 3,000 여 개 수준인 반면 전기차 급속 충전소는 전국 80 곳에 불과 - 정부는 2013 년 급속 충전인프라를 최대 100 여 곳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나 전기 차 보급을 확산시키기엔 여전히 부족한 수준



(긴 충전 시간) 전기차는 상대적으로 충전에 긴 시간이 걸려 불편함이 초래됨
- 차종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급속 충전기를 이용하더라도 대략 30 분 정도가 걸리며 완속 충전기를 이용할 경우 4 시간 이상이 소요 - 긴 충전 시간 시간으로 인해 차량당 충전소는 주유소에 비해 더욱 많이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
[ 전기차 충전기 유형별 특징 ]

구분 목적 가격 설치 장소 충전 시간 충전 전력 자료: 환경부

완속 충전기 장시간 주차시 300~500 만원 쇼핑센터, 관공서 등 4~6 시간 3.3kw

급속 충전기 긴급 상황시 3,000~5,000만원 고속도로 휴게소 30분 이내 50kW

홈 충전기 자가 충전시 100만원 미만 개인주택, 회사 주차장 6~8시간 3.3kW

/9

KB Industry report



(짧은 주행가능 거리) 전기차는 1 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내연기관 자동차 의 1/4 수준으로 짧아 장거리 이동이 불편
- 국내 출시된 전기차의 경우, 1 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는 SM3 Z.E 135km, 레이 EV 135km, 쉐보레 스파크 EV 132km 수준 - 짧은 주행 거리와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운전자는 주행 중 방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실제 주행 가능한 거리보다 더욱 짧은 거리만 운행하는 것으로 나타남



(배터리 가격 및 수명)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으로 가격이 높고 시간이 지나 면서 수명이 짧아지는 점으로 인해 전기차의 상품성을 하락시키는 요인
- 전기차 한대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노트북 컴퓨터 300 대 분량이며 전기차 가격의 30~40% 비중을 차지 - 전기차 가격은 현재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2 배 가량 비싸며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 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배터리 가격의 하락이 필수 요인임 - 노트북 배터리와 같이 전기차 배터리도 충전과 방전을 거치면서 수명이 짧아지며 급 속 충전을 수시로 하게 될 경우 성능이 더욱 빨리 하락

 (리스크 요인) 전기차 관련 정부 지원 정책2에 대한 불확실성 존재
 친환경 자동차가 빠르게 보급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 정책이 뒷받침 되어 야 할 것으로 평가
- 차량 구입시 보조금 지원과 세제 혜택 뿐 아니라 정부 주도의 인프라 구축과 연구개 발 지원으로 제품의 대중화를 이룰 필요



국내 전력 상황을 고려할 때, 전기차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전력 기반이 확충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정책이 필요
- 국내 전력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가 원전 비중을 기존 계획보다 축소한다는 골자의 2 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대두

2

국내 정부 지원책에 대해서는 부록 2 참조
/10

KB Industry report

- 전기차 보급을 위해서는 전기차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을 낮추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보급을 확대하여 원활한 전력 공급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



그러나 정부의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은 전기차 시장 성장에 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기존의 보조금 및 세제 혜택 위주의 정책에서 자생적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적극적 인 지원 정책이 필요 - 그러나 현재 정부의 지원 정책은 선진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으로 평가되 며 2014 년 전기차 관련 예산도 올해에 비해 줄어들 가능성도 있음

 (종합 전망 1) 환경규제와 더불어 전기차 시장의 점진적인 성장이 예상
 당분간 친환경 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위주의 확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인프라 구축과 가격 하락에 따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순수 전 기차(EV)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 HEV 의 저변이 점차 확산되는 가운데 선진국의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는 2015 년 이후 PHEV 와 EV 의 생산이 활발해질 전망



순수 전기차 시장은 스마트폰과 같이 단기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은 어려우며 점진적 인 확산이 예상
- 전기차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스마트폰과 같이 쉽게 구매하기가 어렵고 충전 인프라 등 관련 제반 사항이 함께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급성장은 제한될 전망 -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가격은 현재 800 달러/kWh 수준에서 2020 년 350/kWh 수 준으로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기차 보급이 점진적으로 확산될 것



클린디젤 자동차와 같이 연비와 친환경성을 향상시킨 내연기관 자동차의 존재는 친 환경차 시장을 일정부문 제한할 전망
- 하이브리드 기술이 일본을 중심으로 개발된 반면 클린디젤은 유럽 완성차를 중심으 로 개발이 이루어져 왔음 - 수입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국내의 클린 디젤 자동차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
/11

KB Industry report

 (종합 전망 2)친환경 자동차, 최종적으로 수소연료전지차(FCEV) 방향으로 진화 가능성
 현재 전기차는 구조가 간단하고 기술적 진입장벽이 낮아 다양한 업체들이 진입하고 있으며 각국의 환경 규제를 앞두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
-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테슬라와 같은 신생업체도 진입 할 수 있을 만큼 진입장벽이 낮음 - 완성차 업체들이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 는 상황임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기차가 지닌 한계점을 고려할 때 친환경 자동차의 최 종 진화단계는 수소연료전지차가 될 것으로 예상
- 수소연료전지차는 한번 충전으로 500km 정도의 주행이 가능하고 수소 충전 시간도 3 분 이내로 짧아 전기차가 지닌 주행거리와 충전 시간의 한계를 극복 - 수소에 대한 선입견과는 달리 수소전지차는 현재 규정을 충족하는 충돌시험을 통과 하였으며 수소저장탱크의 폭발을 막는 안전밸브에 대해서도 공인기관의 인증을 마친 상황 - 수소가격은 1kg 당 5~6 천원 정도이며 현대차의 수소연료전지 투싼 ix 의 경우 1kg 당 약 100Km 의 주행이 가능



전기차는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이 이루어져 본격적으로 대중에 확산되기 전까지 정부 의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브릿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 수소연료전지차는 현대차를 비롯한 일부 업체만 높은 기술력을 지니고 있어 향후 완 성차 업체들의 관련 기술이 발전한 이후에는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



다만, 수소연료전지차의 높은 가격과 현재 빈약한 수소 공급 인프라를 고려할 때, 2020 년 이후에나 점진적인 대중화가 예상
- 수소연료전지차의 대당 가격은 약 1 억원 수준이며 이 중 동력전달 장치(파워트레 인)의 가격이 약 7500 만원 수준으로 추정 - 현재 수소 충전소는 연구용 설비 등으로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전국에 13 곳에 불과 하며 수소 인프라 확산에 필요한 재원 마련 확보가 중요
/12

KB Industry report

[ 수소연료전지차 파워트레인 제조단가 전망 ]
(백만원) 500 400 300 200 100 0 2008 2010 2012 2015 2020 150 75 23

69.9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제조업체 평가 ]
66.7 66.1 65.1 54.4 45.5 43.9 36.8 36.1

450

혼 임 러 다 타 요

도 대



G M /
차 이 자 동 하

상 노

르 드



B M W

11

/
낫 산

기 아

자료: KB투자증권, KISTI, 네비건트 주) 2011년 기준

자료: KB투자증권, KISTI, 네비건트 주) 2011년 기준

III. 국내 관련 산업 영향 및 시사점
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산업의 변화
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자동차 산업의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예상
-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등의 기술이 불필요해지면서 기존 자동차 부 품시장의 축소가 예상되는 반면 배터리와 모터 등 전기차 부품 산업의 확대가 예상 - 주유소와 엔진오일 등의 수요 감소로 자동차 연관 산업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전기 수요 확대에 따른 발전산업 및 전기차 충전소 등 관련 산업 성 장 기대



배터리, 파워트레인(모터, 전력관리/제어 시스템), 전기차 생산, 충전 인프라 등 전기 차 value chain 전반의 성장이 예상
- 배터리는 전기차의 원가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 부품으로 생산 원가의 30% 수준이 며 전기차 성장에 따라 시장이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

/13

KB Industry report

- 파워트레인(power train)은 동력전달장치로 모터와 전력관리/제어 시스템(인버터/컨 버터)으로 구성되며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을 대체하며 성장 기대 - 전기차 생산은 시장 진입 장벽은 낮으나 자금력을 이용하여 기술 개발을 활발히 진 행하고 있는 기존의 완성차 업체가 주도해 갈 것으로 예상 - 전기차 충전소는 기존의 주유소 중 일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충전기 인프라 구축은 정부 주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전기차 부품 관련 경쟁력을 지닌 신규 업체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으나 기존의 완성 차 업체와 거래를 맺고 있는 업체가 전기차 부품 공급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판단
- 완성차 업체는 공급의 안정성과 생산 능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어 기존에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업체들이 완성차 업체의 요구에 맞게 부품 공급을 지속할 가능성
[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산업 변화]

구분 종류 부품 관련 산업 자료: KB경영연구소

축소 내연기관 자동차 엔진, 변속기 등 주유소, 엔진오일, 차량 정비

확대 전기차 배터리, 모터, 전력관리/제어 시스템 등 발전, 전력충전소, 충전기

 전기차 관련 주요 업체 현황3
 LG 그룹은 전기차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value chain 수직 계열화를 추진 중
- (LG 화학) 전기차 배터리 세계 1 위 생산업체로 GM, 포드 등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 급하는 등 향후 성장 동력 확보 기대감 고조

3

기타 기업 현황은 부록 3 참조
/14

KB Industry report

- (LG 전자) 배터리 직류 전기를 교류전기로 전환하는 인버터, 외부 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하는 탑재형 충전기, 차량 냉난방 및 환기를 처리하는 공조시스템을 생산 - (LG 이노텍) 전기차 모터, 조향장치, 센서 등 핵심 부품을 생산 - (LG CNS)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SK 그룹 또한 전기차 value chain 의 수직 계열화를 추진
- (SK 이노베이션)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 베이징전공과 공동으로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중국시장에도 진출 - (SK 네트웍스) 주유소 시설을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 종 전기차 서비스 사업도 추진 - (SK C&C)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정성을 높여주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생산



`삼성 SDI 는 BMW 전기차 i3 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 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성장세 기대



SB 리모티브는 현대모비스는 모터를, LS 산전은 인버터를 개발하고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부문은 파워로직스, 이랜텍 등 중소업체의 참여가 활발
[ 전기차 관련 주요 기업 현황 ]

부품 배터리 구동 모터 인버터 배터리관리 시 스템(BMS) 충전인프라 자료: KB경영연구소

업체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현대모비스, LG이노텍 등 LG전자, LS산전 SK C&C, 파워로직스, 이랜텍 LG CNS, SK네트워크

/15

KB Industry report



현재 전기차 관련 업체들은 협소한 국내 전기차 시장 규모로 인해 세계적인 경쟁력 을 갖춘 배터리 생산업체 위주로 성장이 예상
- 배터리 생산 업체들은 국내 시장 뿐 아니라 글로벌 수준의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성장 폭이 클 것으로 예상 - 반면 기타 부품 업체들은 기술 기반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해외시장 확보가 어려우 며 국내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해야 하나 내수 기반이 미약한 상황

/16

KB Industry report

[부록 1: 친환경 자동차 분류 ]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전기
모터와 배터리가 추가
-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연비가 높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으며 별도의 충전 인프라 없이 내연기관 동력으로 충전 - 주행 상태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적절히 작동시켜 연비를 향상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내연기관 자동차에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
- 배터리 동력으로 단독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연비 개선 효과가 큼



순수 전기차(BEV 또는 EV, (Battery) Electric Vehicle): 내연기관 없이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
- 외부 전원으로 충전하며 주행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으나 현재 1 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가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짧은 점이 단점



수소연료전지차(FCEV, Fuelcell Electric Vehicle):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 며 이를 이용해 모터를 작동시켜 주행
[ 친환경 자동차 종류 ]

구분

하이브리드 (HEV)
내연기관 + 배터리(소형) + 모터 - 저속 주행시 모터 이 용, 고속주행시 내연기 관 이용연비향상 - 이산화탄소 배출이 내 연기관보다 적음 내연기관 차량 대비 가격 경쟁력 확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내연기관 + 배터리(중형) + 모터 + 외부 충전 - 모터를 이용하여 단독으 로 주행이 가능 -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며 연비 향 상 폭이 큼

순수 전기차 (EV)
배터리(대형) + 모터 + 외부 충전 - 배터리를 동력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주 행 -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음

수소연료 전지차 (FCEV)
수소연료전지 + 모터 + 보조 배터리

구조

특징

-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 며 이를 동력으로 모터를 작 동시켜 주행 -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음

과제

- 전기 충전 인프라 구축 및 충전 시간 단축 - 배터리 성능 향상 - 차량가격 경쟁력 확보

-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 - 차량 가격 경쟁력 확보

자료: 업계, KB경영연구소
/17

KB Industry report

[ 부록 2: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보급시행 계획4 ]

 전기 자동차
 (예산) 전기차 1,000 대, 충전인프라 1,100 기 등 276 억원 확보
- 보조금: 고속차 1,500 만원, 저속차 578 만원, 완속충전기 800 만원(전기설비공사 포함)



(보급 대상) 전기자동차 보급대상 평가에 관한 규정을 만족하는 차량
- 회사/차종: AD 모터스/Change, 기아/Ray EV, 르노삼성/SM3 Z.E, 한국 GM/Spark EV



(지원 계획)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의 가격차이의 최대 50% 지원, 충전기는 100% 지원
- 기타: 개별소비세, 취득세, 교육세 등 최대 420 만원의 세제 감면, 공영주차장 이용 료 할인, 전용주차장 확대 등



(보급모델 개발 및 확산) 전기자동차 카쉐어링, 친환경 전기렌터카, 장기 리스/렌탈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한 보급 모델 개발
- 장기 리스/렌탈: 장기 리스/렌탈(최소 3 년) 서비스 사업 (사업자 선발) - 카쉐어링: 인구밀집 도시 카쉐어링 시범사업(서울·창원 등) - 관광렌터카: 관광형 렌터카 사업 시범 추진 (제주도 등) - 업무용차량: 산업단지 친황경기업 등 산업체 시범보급(지자체 선발)



(충전 인프라 구축) 주행 중 비상충전수요 대응을 위한 전국단위 급속충전망 지속 구축
- 비상용 공공 급속 충전기 표준 확정 및 지속 구축(최대 100 기), 차량 1 대당 완속 충전기 1 기 설치는 15 년까지 지속 추진 - 충전정보시스템(웹, 앱)을 통해 전국 충전기의 위치·사용정보 제공

4

2013.1.4 발표된 환경부의 ‘2013년 환경친화적자동차 보급 시행계획 참조’
/18

KB Industry report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 (보급방향)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이후 공공기관 대상 시범 보급을 통해 초기수요를 제공하고, 기술검증 및 양산체제 전환 촉진     (대상차종) 현대자동차 투산 ix FCEV 소량양산 모델 (충전시설) 도심 이격, 수소공급원 등 여건을 검토하여 추후 결정 (대상지역) 광주광역시 수소에너지 시범도시 조성사업과 연계보급 (지원 규모) 차량은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의 차액, 충전소 설치 비용

/19

Similar Doc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