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Essay

South Africa Tesco(Korean Ver.)

In:

Submitted By JeffShin
Words 4882
Pages 20
< INDEX >

1. 국가 선정 배경
1) Why South Africa?
2) Why TESCO?

2. 국가환경 분석
1) 국가개황
(1) 식민지의 역사
(2) 인종차별문제
(3) CAGE Framwork

2) 남아프리카공화국 투자환경
(1)
(2)
(3)
(4)

경제적 환경
정치적 환경
법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3. 진출산업 분석
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매 유통 산업
(1) 시장현황과 특성
(2) 경쟁자 분석

2) TESCO 기업 분석
(1)
(2)
(3)
(4)

현황과 시사점
Best Practice
실패 사례
기업 주요 전략

4. 결론
5. 참고문헌

1

국가 선정 배경

1) Why South Africa?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매시장은 흑인 중산층이 소매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이들은 백인 중산층의 소비 규모를 앞지르며 급성장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비시장 및 유통서비스
시장의 성장의 원동력이다. 이러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유통서비스 시장은 현재 소수기업의 과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현재 시점에서 국내 및 유럽계 외국 기업이 구축하고 있는 유통망 이외에 새로 유통망을
구축하여 참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생각하면 이 과점시장에 진입하기만 하면
타 해외시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통 마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ESCO를 선정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진출하는 것을 가정했다. TESCO는 영국 본사와 해외시장들에서
확보한 현금 유동성을 바탕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유통서비스 시장에 Joint Venture로 진입하기 위해
시장분석을 하고자 한다.

2) Why TESCO?
남아프리카공화국 유통 서비스 시장에서 TESCO를 선정한 이유는 당사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 전략과
더불어 영국기업에 친숙한 남아프리카공화국 국내 정서에 있다. 중앙유럽의 경우 헝가리에 15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것을 비롯해 폴란드 10개, 체코 11개 점포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도
역시 적극 공략하고 있다. 태국에서는 할인점 1위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 시장도 2014년 12월 기준
Homeplus express를 제외하고 전국 140개의 매장 운영을 통해 열성을 기울이고 있다. TESCO는
2000년에 이미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 40% 이상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해외시장에서 TESCO가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이질적 문화를 가진 해외시장에서 그룹
자체의 기업문화는 그대로 살리되 가급적 현지 시장에 맞춰 사업을 추진하는 퓨전경영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현지국의 소비수준을 면밀히 검토한 후 취향과 기호에 맞게 현지화를 추진하며 여기에
TESCO 본사의 선진시스템을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냈다. TESCO는 현지에 3~4명의 본사 직원을
파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최고 경영자에서부터 판매사원까지 전 직원을 현지인으로 채용하며, 매장과
상품 구성도 철저히 지역 소비자의 입맛에 맞추는 전략을 폈다. 즉, 다국적 기업이 외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Glocalization’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TESCO는 지역주의를 표방하여 자신의 형태를 현지에 맞게 얼마든지 변형했다. 구체적으로, 한국
시장의 TESCO는 제품의 연속성, 업체의 신뢰성, 쇼핑의 편의성을 원하는 보편적인 소비자 욕구에
덧붙여 한국 고객이 중시하는 매장의 분위기와 제품의 신선도를 강조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선 결과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TESCO의 장점을 살려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적합한 전략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TESCO가 시장 진입 시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에 대하여 분석했다.

2

국가환경 분석

1) 국가개황
남아프리카공화국만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식민지의 역사
불분명한 원주민의 역사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역사는 식민지의 역사에서 시작된다.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케이프타운 상륙 이후 네덜란드인의 이주가 계속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을
보어라 칭하며, 원주민의 토지를 끊임없이 약탈하고 노예소유주의 사회를 구축하려 했다. 18세기
후반 전세계 해양의 최강자로 올라선 영국은 보어인들을 내륙으로 내쫓고 케이프타운을 식민지로
만들었다. 이 후 1899년 보어전쟁이 일어났으나 영국의 승리로 내륙지방까지 영국의 통치하에
놓였으며 1910년 분할되어 있던 식민지들을 합병하여 남아프리카연방을 형성했다.
(2) 인종차별문제
식민지의 역사 이후 현재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차별문제는 떼어낼 수 없는 중요한 사안
이다. 1924년 인종차별법이 제정된 이후 1948년 보어계 내각이 구성되어 인종차별은 정치 및
경제적으로 사회 전체에 자리하고 있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1950년 인종등록법이 제정되어 주민을
인종별로 분류해 등록하게 함으로써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인종차별정책의 시작을 알렸다. 인종차별
정책은 흑인들의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을 박탈하고 통행법을 만들어 흑인들을 감시했다. 이에 반
대해 일어난 시위대를 무차별하게 진압하여 2만 명의 흑인사망자가 발생한 샤프빌 학살은 남아프
리카공화국 인종차별의 일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종차별 정책에 대하여 영국 정부가 비판하자
남아프리카공화국 연방정부는 영국연방을 탈퇴하고, 독립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선언, 독립하게 되었다.
(3) 남아프리카공화국 CAGE Framework
Cultural

Administrative

∙ 흑인/백인의 분리된 문화
∙ 문화 다양성
: 영어, 아프리칸스어 등 11개 공용어 존재

∙ 인종별 정당 존재
∙ 과거 심각했던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정책)
∙ 친서방적 외교정책

Geographic

Economic

∙ 평균 1,000m이상 고지대 및 아열대성 기후
∙ 여름-우기, 겨울-건기
∙ 농목업
: 시장판매용(백인) & 자급자족용(아프리카인)
∙ 광업
: 수출의 30% 차지, 다이아몬드(세계 66%)

∙ 도시집중화 공업구조 → 정부의 분산정책
∙ 백인자본 + 아프리카인 저임금
→ 인종차별법 폐지 후,
‘성장, 고용과 재분배’ 경제정책을 기반으로
시장개방, 사유화, 투자유치 추진

2)남아프리카공화국 투자환경
(1)경제적 환경
⓵경제현황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풍부한 광물자원과 1차 공업에 기반을 두고 대내지향적인 산업화를 추구하
였으나 1994년 신정부가 들어서고 탈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공 경제는 개방화되었다. 생산성이
증대되었으며 세계화의 영향을 받아 대외지향적으로 변화하였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1994년 미
상무성이 발표한 10대 거대 신흥시장국 (BEMs)에 포함되었고 2000년대 이후 아프리카 경제의
고도성장과 더불어 금융, 도소매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며 발전, 특히 2010년에는
월드컵 인프라의 투자 확대로 2.8% 대폭 상승하였지만 유럽 재정위기 이후 감소하는 성장세를
보인다.
아프리카에서 유망한 신흥시장으로 주목 받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프리카 전체 경제를 이끌고
있는 선도국이자, 아프리카 최대의 시장이다. 2014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GDP는 3400억 달러,
1인당 명목 GDP는 6633달러로 나이지리아에 이어 제2의 GDP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광산, 자동차 등 경제성장의 중요 역할을 하는 산업분야 노동자들의 빈번한 불법 파업과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조치 등은 남아공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국가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며 성장이 둔화되었다.
2015년 4월 현재 남아공은 파업이 계속되고 있고 지난 10년 간의 투자 부족으로 전력회사들이
수요를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2009년 이후 가장 느린 경제성장 속도를 기록할 위험에
처해있다. 신용등급평가사인 moody’s는 등급을 Baa1에서 Baa2로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했다.
다만 정부가 지출을 억제하고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고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전망했다.
평가사

등급

전망

Moody's

Baa2

안정적

Standard&Poor's

BBB

부정적

Fitch

BBB

안정적

⓶산업구조
남아프리카공화국 통계청에 따르면 각 산업의 GDP 기여도는 1차 산업 3%, 2차 산업 31.2%,
서비스업 65.8% 수준으로 금속, 철강, 자동차산업의 제조업과 금융 중심의 경제구조를 갖는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보인다. 1차산업인 농업의 비중은 정체/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제조업과
금융업의 비중은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세계 10대 과일 수출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서부 케이프지역을 중심으로 과일이 생산되고
수출되고 있지만 전체 경제에서 농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또한 1차 산업인 섬유,
의류 등의 경공업은 중국산 제품의 시장 침투로 경쟁력을 상실한 상황이다.
반면 석유를 제외한 수많은 광물자원이 다량으로 다양하게 부존되어 있고 알루미늄, 백금, 망간 등은
세계 1위의 매장 규모를 보유하고 있어 도로, 항만의 우수한 인프라 시설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의
주요 공급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경제의 버팀목이라고도 할 수 있는 광업은

총수출의 30%, GDP의 7%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관산업에 미치는 효과까지 감안하면 산업발전의
근간이라고 볼 수 있다.
제조업의 경우 풍부한 철광석 매장량(10억 톤, 세계 14위)을 바탕으로 전체 제조업 생산량의 약
22%를 차지하는 철강산업과 제조업 생산량의 약 21%의 석유화학산업, 자동차 산업이 대표적이다.
남아공의 핵심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산업은 아프리카 자동차 생산량의 85%를 점유하고 있다.
금융업의 경우 다른 신흥국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발달해있다. 은행 부문은 소수은행에 집중되어
은행자본의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4대은행의 시장 점유율은 84%에 해당한다. 무디스의
남아공 주요 은행들에 대한 재정건전성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고, 재정건전성 지수는 개도국
가운데 가장 높아 은행 및 보험이 전반적으로 건실하다.
⓷경제 특징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고성장을 지속하는 아프리카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세계은행은 아프리카는 30년 전의 중국, 20년 전의 인도처럼 고속성장기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아프리카개발은행에 따르면 하루 2~20달러를 소비할 수 있는 중산층만 3억 명을 넘었다. 특히
인구의 평균 연령은 20세로, 아시아의 30세, 유럽의 40세와 비교해 훨씬 젊어 높은 시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⓸무역/투자현황
남아공의 주력 수출품은 전통적 주력 수출품인 천연자원(망간, 크롬, 백금, 금 매장량이 세계
1위)을 활용한 광업으로 총수출의 30%를 차지한다. 제조업 중 자동차 산업은 남아공 총 수출의
약 10%, 제조업 수출 부문의 15%를 차지한다. 금융 산업의 경우에도 비약 성장하고 있다. 기존
시장의 레드오션에서 벗어나 신흥시장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의 투자는 늘어나는 추세인데 업종
별 외국인 투자는 금융업이 가장 많고 광업, 제조업 분야에 투자자금이 많이 유입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5% 이상에 이르는 높은 실업률 해소 및 경제성장을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에
적극적이며, 외국계 투자기업에 각종 혜택 제공한다. 남아공은 25% 이상에 이르는 높은 실업률
해소 및 경제성장을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에 적극적이며, 외국계 투자기업에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
젊고 큰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대외교역에서 교두보 역할을 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신흥국가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 외국기업들이 투자하고 있다.

(2)정치적 환경
남아공은 흑인 민주정부가 수립된 지 20년이 경과한 현재, 정치적 안정과 보수적 거시경제정책
운용에 따른 제반 경제지표의 안정화는 상당 부분 달성되었으나, 실질 경제상황 개선수준은
흑인다수의 기대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세계 경제위기 대처 문제도 새로운
과제로 대두된 상황이다. 현재 실업, 빈곤, 범죄 및 HIV/AIDS(580만명 감염 추청) 만연 등이 4가지
주요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Zuma 대통령은 2009.5월 취임 당시 향후 5년간 집중적으로
추진할 아래와 같은 5대 국정과제를 천명하였다. ①일자리 창출을 통한 실업문제 대처 ②교육제도
개선 ③범죄문제 강력 대응 ④지방 개발 촉진 ⑤보건복지 향상
한편, 남아프리카공화국 경제의 중추인 광업분야에서의 임금인상 요구 파업 및 과격시위는 대외적

국가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하는 등 사회, 경제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외교 분야에서 EU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주요 통상투자 파트너로서, 남아공은 EU 회원국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경제협력 관계 강화를 추구하는 중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경제 육성정책(BEE : Black Economy Empowerment)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에 투자 진출하여 영업활동을 영위하는 외국 기업들에게 이제
BEE는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다. BEE는 남아공 비즈니스의 근간이 되는 남아공 정부
의 핵심 경제정책이므로 남아공에 투자한 외국기업은 반드시 그것을 이해하고 BEE 이행을 위한 노
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남아공에 투자한 외국기업 중 남아공 정부로부터 사업면허(통신, 광산면허 등)를 발급받아야 하는
기업이나 남아공 정부 및 공공기관 입찰에 참여하는 기업은 반드시 BEE에서 요구하는 요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그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사업면허 획득 및 정부 입찰 참가가 사실상 불가
능하다. 또한 남아공 정부는 BEE 이행도가 높은 기업에게 금융지원 및 세금혜택 등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남아공 정부로부터 사업면허 취득이 필요하지 않거나 정부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외국기업은
BEE 이행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BEE 실천규약(Codes of Good Practice)의
Code 500(우대구매)에 따르면, 개별기업들이 BEE 이행도가 높은 기업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해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남아공 기업들도 BEE 이행도가 높은 기업들과 거래를 하게 되고,
전혀 BEE를 이행하지 않는 외국 기업들과의 거래 규모는 갈수록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제는 외국 기업들도 영업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수준 이상의 BEE를 이행할
필요가 있다.
BEE는 분명 외국 기업의 남아공 투자진출에 있어서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BEE를
무시하는 외국 기업은 남아공 시장에서 활동하기 어려운 만큼 그것을 최대한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더욱이 BEE의 실천규약 7개 평가지표 중 소유권을 제외한 다른 항목은 외국기업도 충분히
이행할 수 있는 지표이며, 이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윤 감소, 생산성 및 경영 효율성 저하
등은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다.

(3) 법적환경(수입 정책상의 장벽)
⓵ 관세장벽
남아프리카공화국은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수입대체 정책에 따라 높은 관세율과 수입쿼터 등을
통해 섬유, 자동차 등 주요 국내산업을 보호하여 왔으나, 1994년 흑인정부 수립과 1995년 WTO
가입 이후 시장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관세장벽을 꾸준히 철폐해왔다. WTO 가입 당시 전체 상품의
96.4%에 대해 시장을 개방하는 양허안을 제출하였고, 1995년도에 15%에 달하던 비농산물 평균
관세율은 2011년 7.5% 수준까지 인하되었다. 무관세 수입품목 비중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는데,
2011년 기준으로 전체 농산물 수입액의 45.3%, 비농산물 수입액의 63.7%가 무관세로 수입된다.

품 목

양허관세율(평균)

실행관세율(평균)

농산물

39.2%

8.4%

비농산물

15.8%

7.4%

전 체

19.0%

7.6%

자료원 : WTO (실행관세율은 2012년 기준)
그러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의 이러한 지속적인 관세 인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육성,
고용 창출 등 국내경제정책 수단으로 관세 정책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입장 또한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산업에 따라서는 관세 인상을 통한 보호정책 추진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⓶ 수입규제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는 국민보건, 환경보호, 안전 및 섬유, 자동차, 기계, 플라스틱 산업 등
주요 국내산업 보호 등을 이유로 수입 금지 품목을 지정하여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국제무역위원회(ITAC)의 특별 허가를 얻을 경우에만 수입이 허용된다.

품목

수입 규제 사유

중고품(전자제품 의료기기, 항공기)
폐기물, 스크랩 등
방사성 화학물질
신품 압축타이어
총기/무기
사행성 도박기기
기타 유해물질
안전기준 미달품목

국내산업 보호 및 환경보호
국민보건 및 환경보호
국민보건
안전기준
국민안전
사회적 질서 유지
몬트리올 의정서, UN 협약에 따른 조치
자동차 안전도 제고 및 국민보건

⓷ 통관절차상 장벽
항구에서의 수입화물 적체로 인한 통관 지연 사례가 많으며 세관신고 과정에서 인보이스 금액을
초과하는 가격을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외에도 까다로운 수입허가
절차, 과도한 규제 등으로 인해 통관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⓸ 원산지 규정상의 제약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은 원산지를 표시하여야 하나, 원산지에 따른 차별
대우는 없다. 관세법에 의하면 원산지로 표시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25% 이상의 생산비용(재료비
및 노동비)이 해당 원산지에서 투입되어야 한다.
한편,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중국산 섬유제품의 국내시장 장악으로 인해 붕괴 상태에 있는 국내
섬유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섬유 제품에 한해 원산지 표시 의무를 강화한 ‘신 라벨링 규정’을
시행하고 있어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할 소지가 크다. 신 라벨링 규정에 따르면, 모든 섬유제품의
라벨에는 수입된 직물 원재료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가공해서 만든 제품은 “Made in South
Africa from imported material"이라고 라벨에 표기해야 한다. 이외에도 섬유제품 라벨에 표시되어

있는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표기해야 한다. 또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5%
이상에 이르고 있는 높은 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해 섬유산업과 같이 고용규모가 큰 산업에 대한
보호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노조를 중심으로 섬유제품에 대한 수입규제 요구가 증대되는 중이다.
한편, 수입쿼터 제도는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관세쿼터는 농산물과 섬유류에 대해 적용한다.
농산물의 경우 70%의 쿼터는 이전 수입자, 20%는 중소기업 및 신규자, 나머지 10%는 BEE
관련자에게 배정한다. 그러나 실제로 관세쿼터 하의 관세율이 일반관세율보다 오히려 높아 관세
쿼터 사용률이 그리 높지는 않다.
⓹ 표준, 검사, 라벨링 및 인증관련 장벽
남아프리카공화국 표준청(SABS)은 국내물품이 표준 및 검사 관련 규제를 받는 경우 동종 수입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규제를 적용한다. 현재 농업부, 보건부, 노동부, 수자원환경부, 교통부, 통상산업부가
각종 기술관련 규제가 포함된 법령을 운영 중이다. 또한 농축산물, 농수산가공품, 주류 등이 위생 및
검역 규제의 대상이기 때문에 농축산물 수입에 있어서 까다로운 규제를 하고 있으며, 방사선
처리를 받은 육류는 수입이 금지된다. 사과, 체리, 배 등의 과일류 또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검역절차가 필요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유전자변형식품(GMO)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1999년에 유전자변형식품법을 제정하였다.
모든 제품의 라벨링 및 포장 시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규제를 규정. 수입품의 원산지가 표시
되어야 하며, 함유물의 중량표기는 남아공의 계측시스템에 맞추고, GMO 재료가 함유된 제품은
해당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
⓺ 정부입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정부입찰은 공개 경쟁입찰 방식이나 BEE에 따라 흑인소유지분이 높은 기업에게
가산점을 주고 있으므로 흑인기업 이외에는 사실상 입찰참여가 불가능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00
년도에 정부입찰법을 제정하여 정부입찰 낙찰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정부입찰에
참여하는 흑인기업에게 더욱 많은 특혜를 주는 실정이므로, 외국기업이 단독으로 정부입찰에 참여해
낙찰을 받는 것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정부입찰법에 의하면 1백만 랜드 이하의 입찰의 경우 입찰금액의 20%는 반드시 BEE 관련
입찰자에게 낙찰되어야 하며, 1백만 랜드를 초과하는 입찰의 경우 10%가 BEE 관련 입찰자에게
낙찰되어야 한다. 1996년에 제정된 National Industrial Participation Program(NIPP)에 따라 남아공
정부 및 정부 투자기관에 물품을 공급하는 기업 중 천만 달러 또는 그 이상을 수입을 통해 공급하는
기업은 수입물량의 30% 또는 그 이상에 해당하는 만큼의 물량을 남아프리카공화국 국내기업으로
부터 구매해야 한다.
⓻ 서비스 장벽
서비스 시장은 과거 인종차별정책 및 무역제재 조치의 영향으로 독과점 구조가 고착되어 있어
외국 기업이 신규로 진입하기는 매우 어렵다. 유통서비스 시장은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남아공 및 유럽계 외국기업(Makro, SPAR, Woolworth 등)이 구축하고 있는 유통망 이외에 새로
유통망을 구축하여 참여하기는 매우 어렵다. 한편, 과점 구조로 인해 다른 나라에 비해 유통 마진은
상당히 높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5% 이상에 이르는 높은 실업률 해소 및 경제 성장을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에
적극적이며, 외국계 투자기업에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 그러나 불안한 치안 상황, 강성노조 및
경직적인 노동법, 숙련된 노동력 부족, 전력공급 불안정, BEE 정책 등은 외국기업 투자 진출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또한 대부분의 투자가 제조업, 광물가공업 등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분야보다는
광업 부문에 편중되어있다.
(4) 사회문화적 환경
⓵ 민족 구성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다수의 흑인 및 백인, 혼혈인, 아시아 및 인도계가 혼재되어 있다.
Nguni(Zulu, Xhosa, Ndebele, Swazi 등), Tswana(Sothos), Tsonga, Venda 등의 아프리카 인종이
79.2%, 네덜란드 및 영국계 백인이 8.9%, 혼혈인이 8.9%, 아시아 및 인도계가 2.5%를 이룬다.
⓶ 언어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영어, Afrikaans, isiZulu, isiXhosa, isiNdebele, Sepedi, Sesotho, Setswana,
SiSwati, Tshivenda, Xitsonga 등 11개의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이들 중 공식어로 가장 일반
적으로 소통되는 것은 영어와 아프리칸스어이다. 영어를 2번째 혹은 3번째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까지
포함하여 영어구사 인구를 조사한 예는 없으나, 학계에서는 남아공 국민의 약 40-45%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아프리칸스어는 네덜란드 정착민들의 언어가 남아공 원주민의
언어 및 후기 이주자들의 언어(말레이어, 영어, 불어, 포르투갈어 등)와 접촉하면서 1650~1850년에
걸쳐 형성된 언어이다. 아프리칸스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는 약 30-40%로 추정된다.
2001년-2011년 사이에 영어와 아프리칸스어를 1번째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의 증가율은 같은 기간의
전체 인구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isiZulu, isiXhosa, Sesotho 등 원주민 언어를 1번째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의 증가율은 전체 인구 증가율보다 낮게 조사되어, 앞으로 영어와 아프리칸스어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⓷ 종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종교는 기독교 79.8%, 이슬람 1.5%, 힌두교 1.2%, 무교 15% 등으로 이루어
진다. 국민의 80% 정도가 기독교를 믿으나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토착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혼재되어 있다. 기독교는 개신교와 천주교 신자도 다수 존재하지만, Apostolic, Zionist, Ethiopian
등 다양한 계열에 속하는 여러 토착 기독교 분파의 영향력도 막대하다. 토착 기독교는 신앙을 통한
질병의 치유, 영혼 빙의, 일부다처제 등 토속 신앙의 요소들과 결합된 형태이다.
⓸ 치안
1990년 인종차별 철폐 이후 민생사범, 마약, 차량 강탈 등이 증가하는 등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치안상황은 세계 최하위권으로 범죄관련 통계(2010.04-2011.03 남아공경찰청)를 우리나라(2011년
한국경찰청)와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참고로 양국의 인구는 4천 8백만 명으로 비슷하다.

범죄

남아공 발생건수

한국 발생건수

배수(배)

살인

15,609

427

36.5

강도

154183

3994

38.6

절도

536,293

281,362

1.9

성범죄

64,514

19,498

3.3

마약범죄

176,307

4,160

42.3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치안 악화에는 매우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 인접국가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불법입국자들이 값싼 노동력의 주요 공급원이 되면서 기존 남아공 근로자의 일자리를 빼앗는
결과를 초래하여 실업률이 높아지고 사회 불안정이 증대되었다. 또한, 남아공에서는 허가를 득한 후
총기를 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주 싼 가격으로 불법 총기를 획득할 수 있고, 불법 총기도
최대 약 4백만 정으로 추정되는 등 총기 범죄가 빈발하다. 특히 주거침입강도 사건이 많아 항시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비교적 안전하다는 소위 ‘security compound’(외곽에 전기 철조망을
설치하고 경비회사로 하여금 경비원 및 경비견으로 순찰토록 하는 주택단지) 지역에서도 강, 절도
사건이 이따금 발생한다.
외국인혐오범죄(Xenophobia) 발생
요하네스버그 일부와 근교 흑인 집성촌에서 모잠비크와 짐바브웨 등 주변국가에서 불법
이주해 온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살인, 강도, 상해 및 방화 등 강력범죄가 빈번하다. 외국인
혐오범죄는 주변국에서 불법 입국한 후 남아공의 흑인 빈민들의 일자리를 빼앗고, 범죄를
저지르는 외국 흑인 노동자를 추방하려는 흑인 군중들에 의해 발생한다.

3

진출산업 분석

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매 유통 산업
(1) 시장현황과 특성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금융, 유통 등 3차 산업 위주의 성숙한 상업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남아프리
카공화국 GDP에서 3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기준 65.8%에 달하는데 비해 1차 산업과 2차
산업은 각각 2.6%, 28.5%에 불과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매 판매는 2011년 사상 처음으로 1조 랜드(약 1200억 달러)를 넘었고, 향후
경제성장과 인구구성, 소비 증가를 고려했을 때 2016년에는 1조 4600억 랜드(약 1700억 달러)에 달
할 전망이다. 이 규모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최대 규모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20위 권
수준이다. 2016년까지 연 수입 8만 9500랜드(약 1만 달러) 이상의 남아공 가구 수는 1100만 가구일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흑인 중산층이 소매 시장을 주도해 갈 것이다. 이른바 ‘블랙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남아공의 흑인 중산층들은 2010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 : Planet Retail, EIU)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소매 유통분야에 있어 일부 대형유통체인을 중심으로 소비재 및 생필품 등의
독과점을 형성해왔다. 불과 4개에 불과한 대형유통체인들이 전국 소비재유통의 약 70%를 장악하는
구조인데, 미국과 유사한 형태의 대형 슈퍼마켓이 발달해 전국적인, 현대화된 체인망을 구축하고
있다. 각 유통단계별 마진이 20-25%에 달할 정도로 높은 편이고 간접비용도 상당히 높은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매업의 형태를 보면, 연간 매상이 3,900만 랜드(한화 36억원) 이상의
대형점이 소매업 전체 매상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연간 매상 400만~1,900만 랜드의
소형점이 11.3%를 차지한다.
Woolworth, Shoprite, makro, SPAR, Pick n pay 등은 일괄구매 및 저렴한 가격, 즉 규모의 경제를
무기로 다양하고 광범위한 약 60만여 개의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현재의 이와 같은 대형 슈퍼마켓
체인들은 평균 소득 이상의 고소득층뿐만 아니라 흑인이나 저소득층의 시장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또한 지리적 전략으로 대다수의 신규 슈퍼마켓 체인들은 고객과의 평균 거리를 평균 20km
에서 1.7km로 현저하게 줄였다.
그 외 가전제품, 의류, 신발, 육류, 과일류, 주류 등 전문상품 소매점이 있으나 규모 면에서는
슈퍼마켓보다 훨씬 작은 편이다. 또한 지역별로 대단위 쇼핑센터가 구축되어 동 센터 내에 슈퍼마켓,
특판점, 전문상품 취급 소매상들이 입주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이들 쇼핑센터 내에서 생활용품 및
기타 소비제품들을 구입하고 있다.

(2) 경쟁자 분석
⓵ Shoprite
아프리카에서, 그리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가장 큰 소매유통업체로, 2012년 기준 매출액이 97억
달러에 달한다.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외 16개 아프리카 국가에 220여 개의 대형 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다. Shoprite는 다른 경쟁업체들이 비해 가장 제품의 가격이 저렴한 대형 마트이다.
중저가 제품 등 저가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을 토대로 영업을 하고 있으며, 주 소비자층은 흑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단순 쇼핑센터뿐만 아니라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서점, 음식점, 잡화점 등이
함께 들어선 복합 쇼핑몰의 형태를 띤다.
Shoprite, Checkers, U save 세 개의 체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체인이 타켓하는 고객층이

다르다. Shoprite와 U save는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시장을 겨냥하는 반면, checkers는 중상층과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이 중 checkers는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을 주력 제품으로 판매하는 유통서비스 업체이다.
농산물을 기반으로 제품의 다양화를 통해 전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업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대인을 위한 음식코너가 갖추어져 있어 유대인에게 인기를 끌고 있으며, 남아프
리카공화국 대형 마트 중 유일하게 배추(Chinese cabbage)를 판매하는 곳으로 재 남아공 한국인
들에게도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⓶ Massmart Holdings
창고형 도매유통 체인인 Makro와 소매 유통체인인 Game을 보유하고 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외 지역에 14개국에 진출, 360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 기준 매출액 72억 달러로
ShopRite에 이어 업계 2위를 차지이다. 개 사료, 배터리, 의류 및 선케어 제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PB를 취급하고 있다. 월마트가 지난해 지분 51%를 25억 달러에 인수해 공식 합병한 상태다. 최근
식료품점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투자를 계획했으나 기존의 글로벌 마트들의 독점 임대 때문에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남아공 부정경쟁 감시단체에 Shoprite, Pick n pay 등을 고발했다.
⓷ Pick n Pay
남아프리카공화국 행정수도인 케이프타운에서 가장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대형 마트이다. 2012년
기준 매출액 70억 달러로 소매업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식품, 의류, 일반 소비재 등을 함께
판매하며 전반적으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고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
가격전략을 펼치고 있는 Woolworth와 저가전략의 Shoprite, 그리고 농산물에 전문성을 띄고 있는
Checkers 사이에서 부각되고 있는 전략이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분석된다.
⓸ SPAR
1960년대 남아공의 8개 도매상 그룹이 네덜란드의 모회사로부터 SPAR라는 이름을 사용할 배타적인
권리를 받아 운영하고 있는 소매업체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은 본사에 의존하지만 독립성도
가지고 있어 자율적인 무역 시스템 하에서 운영된다. 2012년 기준 매출액 51억 달러로 소매업계
4위이다. 3개의 매장 컨셉을 가지고 있는데, SPAR는 가까운 쇼핑, SUPERSTAR는 경쟁적인 가격,
대량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원스탑 쇼핑, KWIKSPAR는 개인이 선호하는 쇼핑 특성에 맞추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환경이다.
⓹ Woolworth
최근 5년간 매출이 매년 20% 이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선호하여 최고급으로 인정받고 있는 대형 마트이다. 현재 남아공 이외 11개 아프리카 국가에
진출한 상태이며 남아공의 선도적인 소매 브랜드 중 하나로 꼽힌다. 크게 식품, 의류, 화장품,
홈웨어 등 넓은 범위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전국에 위치한 300여개의 매장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파트너를 통하여 자체 제작 상품을 판매한다.
마트의 규모는 Pick n pay나 Checkers에 비해 작은 편이지만 품질 측면에서 최고급을 지향한다.
모든 과일과 채소들은 씻고 잘라진 상태로 포장되어 판매되며, 대부분 음식들이 전자레인지에 바로
데워먹을 수 있는 음식을 판매한다. 보통 백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마트로 고품질을 지향하는

백화점 식품관과 같은 형태이다.
업체명

매출액 (억$)

1위

ShopRite Holdings

97

2위

Mssmart Holdings

72

3위

Pick n Pay Stores

70

4위

SPAR Group

51

5위

Woolworths Holdings

34

6위

Edgard Consolidated Stores

31

(자료 : The African Report)

2) TESCO 기업 분석
(1) 현황과 시사점
TESCO는 영국의 대형 유통업체이며 업계에서 2013년 매출액 기준 세계 2위에 위치하며 저력을
보인다. 2014년 기준으로 전 세계 6,780여 개 매장을 운영 중이고, 직원 수는 59만 7,700명이다.
영국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유럽, 아시아, 북미 등 다양한 지역별로 사업을 운영하고
이 중 영국, 아일랜드, 태국, 말레이시아에서는 식료품 유통업계 1위를 차지한다.
1919년 영국 런던의 이스트엔드 지역에서 시작한 작은 상점이 1950년대 들어서면서 대형 매장을
열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에는 800여개 매장을 개설하며 성장했다. 사업 성공에 따라 다른 영세
유통업체들을 인수하며 1990년대 초 해외 진출과 함께 사업 영역을 책, 의류, 전자제품, 가구,
소프트웨어, 금융서비스, 이동통신, 인터넷서비스, DVD 대여, 음악 다운로드 부문으로 확장했다.
1995년 클럽카드를 도입한 TESCO는 영국 내 경쟁업체였던 세인즈버리를 제치고 업계 1위 자리에
오르고 세계 상위권에 포함되는 유통업체로 성장했다.
1990년대 TESCO는 유통 사업부문 이외에 다른 분야로 사업 확장을 시도했다. 기타 자회사로
TESCO뱅크(Tesco Bank), TESCO모바일(Tesco Mobile) 등을 가지고 있으며 유통업 부문에서는
TESCO, TESCO 익스프레스, TESCO 다이렉트, TESCO 메트로 등의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한다.
2014년 매출 708억 9,400만 파운드, 영업이익 30억 5,400만 파운드를 기록했다. 작년 미국 경제
전문지 매출액 기준으로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에서 6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4년
말 영국 회계감독당국인 재무보고조사위원회가 TESCO의 분식회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면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는 추세이다. 회계 조사로 인해 역사상 최악의 영업적자인 약 63억 파운드 가량
손해를 입었다. 그 뒤 TESCO는 구조조정을 하면서 영국 내 40여 개 매장 폐쇄,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업체인 블링크박스(Blinkbox)와 TESCO 고객정보 관리업체인 던험비(Dunhumby) 매각을 발표했다.
(2) Best Practice
1999년 한국의 삼성물산과 영국의 TESCO가 합작한 삼성TESCO는 대형 할인점이 부상하던 시기에
새로운 개념의 할인점을 제시하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대형할인점 42개, 18개의 익스프
레스 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는 홈플러스의 성장은 한국형 할인점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던
블루오션 전략의 성공사례이다. 홈플러스는 당시 출범 5년만인 2003년 3조3천억 원의 매출을 달성

하며 업계 2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TESCO와 홈플러스가 크게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할인점이 아닌 가치점을 표방한 컨셉
전략이다. 단순히 좋은 상품을 싼 가격에 판매한다는 개념의 기존 할인점과 달리 One stop living service라는 개념을 추가했다. 백화점과 같은 쾌적한 매장환경으로 바꾸고, 병원, 은행, 약국, 미용실
등 생활에 필요한 편의서비스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도록 매장을 구성하였다. 단순한 쇼핑장소가
아닌 지역 내 최대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컨셉을 바꾼 것이다.
둘째, 철저한 현지화 경영, 글로컬(Glocal) 경영의 성공적인 진행이다. 삼성TESCO의 성공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외국계 할인점의 대부분이 글로벌 기준만을 적용하는데 반해, 홈플러스는 한국
고객의 취향과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철저한 현지화 경영을 통해 한국 고객과 밀착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큰 성공을 거두었다.
셋째, 홈플러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 물류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2003년 동양 최대 규모의
목천물류센터를 열었다. 최첨단 창고관리시스템(WMS)과 정확한 상품자동 분류기(Sorter) 등 국내에서
최초로 첨단 설비를 도입하였다. 또한 2005년에는 신선식품을 신선하고 저렴하게 제공하기 위해
신선식품 전용 물류센터인 함안물류서비스센터를 열기도 했다. 홈플러스의 첨단 물류시스템에 대한
과감한 투자는 고객에게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고객이 원하는 만큼 고객이
원하는 가격으로 제공하도록 도와 홈플러스의 매출 신장과 충성고객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3) 실패사례
TESCO의 경영전략과 인수대상기업의 부적합으로 인해 실패한 사례도 있다. TESCO는2011년 8월
말 일본 사업 철수를 발표하면서 사실상 일본시장 진출의 실패를 선언했다. TESCO는 2003년 7월
‘시투’를 약 300억 엔에 인수하면서 일본에 진출하였고 2004년 8월에는 ‘플렉’, 2005년 10월에는
‘타네킨’이라는 중소 규모의 슈퍼를 인수하였다.
그러나 TESCO가 8년 만에 철수를 발표한 이유는 인수대상기업을 잘못 선정한 데 있다. 저가 판매
경향이 강한 ‘시투’는 출점 비용을 우선했기 때문에 점포 크기는 각각이었다. TESCO 같은 매장을
표준화하여 본부 주도로 점포를 운영하는 기업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시투’는 지명도가 낮으며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주로 가공품이 중심이며,
인건비 및 폐기 손실이 발생 신선제품은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TESCO의 건강한 이미지와 신선
제품 물류센터 운영 등은 ‘시투’의 수익방식과는 많이 달랐다. 이러한 인수 대상 판단을 잘못 본
사업 계획의 실패와 함께 세븐아이홀딩스라는 거대 일본 유통업체 등 강력한 경쟁사에게 밀려 결국
시장 철수를 했다.
(4) 기업 주요 전략
TESC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첨단기술과
고객중심의 경영에 기초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온라인에서는 TESCO 다이렉트라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른 유통업체와 차별화 하며 성장했다. 1996년 후반에 온라인 판매채널 TESCO
다이렉트(Tesco Direct)를 출범시켰는데 현재 TESCO 다이렉트는 규모나 수익성에 있어서 세계 1위의
인터넷 식료품점이다.
TESCO가 이처럼 성공한 이유는 TESCO가 식료품점에서 쇼핑하는 고객들의 쇼핑 패턴을 파악한
후, 오프라인과 온라인 쇼핑의 장점을 결합한 쇼핑시나리오를 제시해 주었다. 고객들은 종전 구매

리스트를 바탕으로 식료품의 쇼핑리스트 작성을 자동화함으로써 상점으로 차를 몰고 왕복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짐을 끌고 다니는 수고도 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 고객들이 상점에서 쇼핑을 즐기며 그들은 식료품의 신선도를 직접 만져보는 한편
어떤 새로운 물건이 들어왔는지 알고 싶어 했다.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TESCO는 오프라인
시나리오와 온라인 시나리오를 긴밀하게 통합해 고객들로 하여금 신축성(품질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을 상실함이 없이 그들의 시나리오를 간소화할 수 있게 하는 일에
착수했다. TESCO는 비용절감을 위해 중앙창고에서 재고관리와 주문처리 업무를 통합하고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각 상점의 가격책정 및 재고운영 시스템과 연결했다. 그리고 TESCO는 고객들이
평상시 직접 쇼핑을 해온 상점으로부터 온라인 구매를 할 것을 예측하여 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이 주문하는 모든 물건이 갖추어지도록 하는 확률을 크게 높여 주었고 주요 품목이 품절사태를
빚는 일이 없도록 도매 주문을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전략 이외에 오프라인에서도 TESCO만의 두드러지는 경영전략들이 있다. 첫째는 고객 의회
전략으로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바라는지 고객의 마음 속 깊은 곳까지 듣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다. 기업 내 부서 중 CIU(Customer Insight Unit)팀은 고객의 insight and needs를 찾아내어
회사의 운영이나 마케팅전략에 반영하는 일을 한다.
둘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활용한다. TESCO 클럽/패밀리 카드는 대표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클럽/패밀리카드는 고객의 구매정보를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CRM 마케팅을 효과적이고 실질적
으로 가능하게 해준다.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만큼을 현금할인쿠폰으로 돌려받고 다양한 상품할인권
등의 혜택도 받게 되어 고객의 입장에서도 다시 같은 매장을 찾는 유인이 되기도 했다.
셋째, TESCO는 글로벌 유통업 선도 기업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앞선 이해와 실천의 일환으로 문화경영을 통해 문화센터를 운영하며 로얄고객층에게 문화 예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환경경영으로 업계 최초로 환경캐릭터를 개발하는 등 지구의 환경을
생각하는 깨끗한 TESCO의 이미지를 갖추기도 했다.

4

결론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신규 해외시장을 탐색하는 글로벌 유통기업에게 매력적인 시장이다. 외국기업
들에게 호의적인 정부와 시장 성장가능성, 그리고 기타 제반여건들은 시장에 진입만 가능하다면
충분히 이로운 조건들로 작용할 것이다. 이같은 유통서비스 시장에서 TESCO는 Pick n Pay와 합작
투자를 통한 시장진출을 하려고 한다. 중저가 유통서비스시장에서 TESCO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Pick n Pay의 대도시 중심의 유통채널과 신선식품을 중시하는 기존 목적을 통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시장 내 영업을 할 것이다. Pick n Pay 측면에서 봤을 때, TESCO라는 해외 유명
유통업체의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대도시에 거주하는 소비자층에 대한 어필이 가능해져, 고가전략의
Woolworth와 저가전략의 Shoprite 사이에서 자신들의 분명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분석한다.

5

참고문헌

국제경영: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전략, Hill
끌리는 매장의 비밀, 후쿠다 히로히데, 청림출판
남아공 상류층, 고품질 제품 선호, KOTRA 글로벌윈도우
남아공 소비시장 향후 5년 급성장 전망, KOTRA 글로벌윈도우
남아공 온라인시장 현황(1) 남아프리카공화국, KOTRA 글로벌윈도우
남아공 온라인시장 현황(2) 남아프리카공화국, KOTRA 글로벌윈도우
네이버 백과사전
삼성물산과 영국 TESCO의 글로벌 협상 사례, 이동기, 한국경영학회
성공하는 유통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
소매업의 물류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지영, 유통학 석사 학위 논문(명지대학교), 2002년
외국계 유통기업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연구, 서권수, 한국유통과학회
유통업체 브랜드 개발 및 운영 과정: TESCO 코리아와 한국 유통업체의 비교, 조영상, 2010
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분석자료, 2014
테스코의 한국 시장 진출사례, 김주헌, 경영교육연구 제 8권 제 2호, 2005년 3월
한-남아공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박영호,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해외시장을 향한 TESCO의 글로벌 경영전략, 우종필, 유통저널 제 3권 95호, 통권 174호, 2002년 11월
Black Diamond를 주시하자, KOTRA 글로벌윈도우
International Business-An Asian Perspective, Hill, 2012
Shenzhen Daily New, KOTRA
Woolworths Holding Limited 2013 Integrated report www.checkers.co.za/Pages/default.aspx www.saarf.co.za/ www.shoprite.co.za/Pages/index.aspx www.tesco.com www.woolworths.co.za/

Similar Documents

Premium Essay

Retail Supply Chain at Walmart

...Supply Cha S ain Manage nt Pro emen oject  ‐  Reta ail Sup Chain at  pply C                                                        Project Group –  Balaji Nag garajan (Roll n no: EPGP‐04A A‐016)   Deepak M Mittal (Roll no: EPGP‐04A‐0 026)   Kannan S (Roll no: EPG GP‐04A‐044)   Mahesh R Rajesham (Roll no: EPGP‐04 A‐115)   Mansi Sha arma (Roll no o : EPGP‐04 A‐ ‐051)   Dr. Priyan nka Mallick (R Roll no : EPGP‐04 A‐068)   Sandeep G Gawde (Roll n no : EPGP‐04 A‐030)     SCM Project – Retail Supply Chain at Wal‐Mart    Table of Contents   1.  2.  I.  II.  3.  Introduction .......................................................................................................................................... 3  About Wal‐Mart .................................................................................................................................... 4  Operating Divisions ........................................................................................................................... 4  Competition and Regional Alignments ............................................................................................. 8  Components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 11  A.  Main Elements ................................................................................................................................ 11  4.  Wal‐Mart’s Method of Managing the Supply Chain .............

Words: 7766 - Pages: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