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Essay

Dndhkdndhk

In:

Submitted By yoonhwan
Words 336
Pages 2
경영자료분석. Prof. 김민관 경영학부 이윤환 2009049428

Report #1
데이터베이스 관리/분석

- 2012년 현재 서울시 4개 지역구의
공공기관별 석면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 구축-

목차
- 외부 데이터 출처정보

서론
- 주제 선정 동기와 데이터베이스 분석의 목적

본론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여러가지 방향의 분석

결론
-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통해 얻게 된 결론

출처 : http:data.seoul.go.kr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i.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에서 발표한 공공건축물 석면정보를 이용하였다.

ii. 공공건축물 석면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내용 기관명 건물명 주소 전체면적 석면함유면적 건물용도 구조물 건축일 지상 지하 옥탑

I. 서론
주제 소개 및 목적

* 석면이 건강에 해가 된다는 사실이 널리 퍼진 이 순간 서울시의 공공건축물은 석면을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가? 과거 석면이란 물질은 내구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등이 뛰어나고 값이 싸서 건설 자재,전기제품, 가정용품 등 여러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지정 1급 발암물질로 호흡을 통해 그 가루를 마시면 20년에서 4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나 악성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밝혔다. 그 후 정부는 석면 시멘트제품 및 석면마찰 제품 용도를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한국에서는 석면을 1960년대 경제개발과 함께 산업사회에서 광범위하고 대량으로 사용했으며 90대까지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았다. 1990년 후반에 와서야 석면이 사회문제로 부각되자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서울시에서는 재개발,재건축현장의 건축물석면 해체,제거작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문제제기에 대해 시민의 불암감 해소 및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공공건축물에 대한 석면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 25개의 지역구 중 4개의 지역구 (강남구,서초구,송파구,금천구)를 선정해 공공건축물의 석면데이터를 분석하여 설립연도별, 구조물별 석면사용 여부를 파악하고 어느 지역구에서 가장 석면을 많이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추세를 확인해보겠다.

III. 결론
현 공공건축물 석면함유량에 관한 총평

지금까지 4개 지역구의 공공건축물의 석면함유량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석면함유에 있어 가장 중요했던 요인은 건축연도였다. 빠르게 진행된 산업화 시대에 좀더 질 좋고 싼 가격의 자재를 구한 것이 석면이었고 석면에 대해 잘 몰랐던 우리들은 무분별하게 석면을 많이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석면함유가 가장 많은 구조물은 ‘시멘트블럭조’이며 ‘시멘트블럭조’에 대한 사용을 제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석면에 대한 위험도가 시민들에게 인식되면서 차츰차츰 줄여나가지만 확실히 다른 나라들보다 느리게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하루빨리 석면의 위험성을 크게 느끼고 해체작업을 실시하여 시민들의 건강에 위험경보가 울리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Similar Documents